반응형
XML과 HTML은 태그를 이용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래서 확장자명이 XML인 파일에 태그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았다.
가능하긴 하다 변환과정이 있다면
하지만 변환이 없다면 태그가 텍스트로 노출되는 그뿐이었다.
그럼 HTML 파일은 특수성이 있는 건가?
특수성 보단 약속에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
관계자 및 개발자분들이 '<strong> 태그일 땐 텍스트를 선명하게 할게요' 하고
웹 페이지에 사용할 규칙들을 정했고 그 규칙을 HTML 파일 안에 사용 시 힘을 발휘하는 것이다.
어느 날 '<power> 태그일 때 텍스트를 선명하게 하고 DEV 확장자명을 사용하는 파일로 규칙을 정하겠습니다' 한다면 그 규칙을 따라야 할 것이다.
다행히 입맛대로 태그를 사용해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XML 파일이 있다. 이미 입맛대로 규칙을 정한 방법이 있기에 개발자인 나는 잘 사용하면 될 것이다.
+ 'XML 파일을 해석하는 렌더링 엔진을 만들어 볼 수 있을까?' 하고 찾아본 결과 무리인 것으로 확인
반응형
'WEB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개행문자('\n')와 <br> 요소를 HTML 파일에서 사용시 차이점 (0) | 2024.03.22 |
---|---|
[HTML (Living Standard)] index.html 파일은 왜 기본 페이지인가? (0) | 2023.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