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ndex
한국어로 번역하면 색인이다. 색인은 책이나 서적의 내용 중에서 중요한 항목을 뽑아 본문 어느 쪽에 있는지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쪽 번호와 함께 별도로 배열하여 놓은 목록이다.
index.html
발전된 현대 사이트들과 다르게
옛날에는 글만 있는 페이지들이 대부분이었다.
책과 다를 게 없는 사이트 안에서 다른 글을 보기 위해 이동하려면 인덱스가 필요했다.
그래서 index.html을 메인 페이지로 사용했고 그 관습이 지금까지 내려오는 것이다.
현대 사이트에서도 디자인적 요소가 섞여있을 뿐 공공기관 사이트를 확인해 보면 인덱스형 메뉴 섹션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 기본페이지로 index.html 파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다른 이름으로 변경하거나 다른 파일로 변경 할 수 있다.
리눅스에서 아파치 웹 서버 기본 페이지 변경
아파치 웹서버의 경우 httpd.conf 파일에서 수정할 수있다.
DirectoryIndex 설정을 index.html을 main.html로 변경하면 된다.
<IfModule dir_module>
DirectoryIndex index.html(main.html)로 변경 index.htm index.php
</IfModule>
만약 index.html 파일이 없고 대체할 페이지가 하나도 없는 경우는 어떻게 될까?
URL로 접속할 경우 아래의 페이지 처럼 디렉토리 리스트가 뜬다.
아래의 형식은 보안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권고하는 사항이 아니다.
httpd.conf 파일에서 Options 설정에서 Indexes 를 삭제함으로써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irectory "/home/*/public_html">
~
Options Indexes(삭제) FollowSymLinks
~
</Directory>
윈도우에서 이클립스 웹 서버에서 기본 페이지 변경
/conf/web.xml 파일에서 코드 변경
<welcome-file-list>
<welcome-file>index.html</welcome-file>
<welcome-file>index.htm</welcome-file>
<welcome-file>index.jsp</welcome-file>
</welcome-file-list>
Reference
반응형
'WEB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개행문자('\n')와 <br> 요소를 HTML 파일에서 사용시 차이점 (0) | 2024.03.22 |
---|---|
[HTML/XML] XML과 HTML은 비슷하단 생각이 들었다. (0) | 2024.03.19 |